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평생 내가 남긴 쓰레기 얼마나 될까

5월은 1년 중 가장 큰 불교 행사인 ‘부처님 오신 날’이 들어있어서 스님들에겐 기쁘고도 분주한 달이다. 부처님 오신 날 행사가 지나고 나는 며칠 동안 몸살을 앓았다. 겨우 정신을 차리고 보니, 내 방은 물론이요 도량 곳곳에 아직도 치워야 할 쓰레기가 널려 있었다. 기력은 없는데 주지 소임을 살다 보니, 습관적으로 도량에 치워야 할 것이 먼저 눈에 띈다. 하다못해 부처님 전에서 뭉개지도록 피고 진 꽃들도 온통 치워야 할 쓰레기로만 보였다.   흐드러진 ‘낙화’를 바라보며 ‘내 인생도 이리 곱게 피었다가 살아생전의 잘못일랑 고이 접어 사뿐히 지면 좋겠구나’ 싶었다. 늘 그렇듯 낙화를 치우는 것은 승려에겐 그리 싫지만은 않은 일거리다.   몸은 힘든데, 쓰레기가 만만치 않았다. 분명 행사 당일에 많이 치웠는데도, 여전히 크고 작은 쓰레기가 나왔다. 작은 절에서 쓰레기가 이렇게 많이 나오면 대체 어쩌자는 것인가. 행사 하나 치를 때마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쓰레기를 만들어 내는가 반성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구를 위해 나무 한 그루 제대로 심은 적도 없는데, 나는 일생 얼마만큼의 쓰레기를 남기고 이승을 떠날 것인가. 남을 위해 산다면서 이래도 될 일인가. 궁시렁궁시렁…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물고 복잡한 머릿속을 헤집었다. 수도 서울에 사는 수도승인지라 청소를 하면서도 쓰레기 분리수거 날짜를 다시 챙겨보았다.   코로나 이후 우리나라의 하루 평균 쓰레기 배출량이 50만t을 넘어섰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정말 이러다간 푸른 청산이 아니라, 머지않아 쓰레기 산에 둘러싸여 살지도 모르겠다. 더구나 최근 전 세계는 코로나 말고도 한파에 폭설, 초대형 산불까지, 극심한 이상기후 현상에 몸살을 앓았다. 생각해보면 이 모든 것들이 결국은 우리 인간이 초래한 과보 아니겠는가.   지금까지 우리에겐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있었다. 돈이 필요하다고 하니 사과를 따 돈을 마련하게 해주고, 살 집이 필요하다 하니 나무를 잘라 집을 짓게 해주고, 바다에 가고 싶다고 하니 밑동을 잘라 보트를 만들게 해주고, 노인이 되어 돌아오자 베이고 남은 그루터기에 앉아 쉬라고 했던 그 ‘아낌없이 주는 나무’ 말이다. 이 ‘아낌없이 주는 나무’처럼 자연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베풀고 휴식처가 되어 주었는데, 인간은 일생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을 훼손하는 일만 하다가 세상을 떠나는 것 같다.   세제를 맘껏 풀어쓰고, 물을 펑펑 써대고, 플라스틱 함부로 버리고… 기업까지는 모르겠고, 생활면에서만 보면 자연에 도움이 될 만한 일이라곤 별로 떠오르지 않는다. 오래전, 청담 큰스님께서는 계곡물에서 머리 감는 스님에게도 물 아껴 쓰라며 호통치셨는데, 그 음성이 다시금 필요할 때다. 처음 이야기를 들었을 땐, 중이 머리 감아 봤자 물이 뭐 얼마나 든다고 그러실까 싶었는데, 세월이 흐르고 보니 큰스님은 이리될 줄 이미 아셨나 보다.   물건도 문제다. 젊어서는 어떻게든 내 공간을 좋아하는 물건으로 채우느라 낭비했다. 인생을 물건으로 채우면 안 되는데, 빌려보면 되는 책도 쓸데없이 사들여 꽂아두고는 저 혼자 좋아했다.   정신 차리고 둘러보니, 다 부질없다. 아니 지금은 물건을 정리하고 치우는 데 또 공을 들인다. 책뿐만 아니라 옷도 마찬가지다. 이 모든 것들이 내가 죽고 나면 결국엔 쓰레기로 남아 먼지로 돌아갈 텐데, 답답한 노릇이다. 버리는 것도 분류하고 나누며 정성껏 정리해야겠다.   아마도 인간은 적게 가지고 만족하며 사는 삶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그리고 이 아름다운 5월을 몇 번이나 싱그럽게 맞이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면, 자연을 대하는 태도도 적극적으로 바꿀 수 있다. 후손뿐만 아니라, 내생의 나 자신을 위해서라도 자연을 향해 더 배려하고 아끼며 친절하게 살자.   원영스님 / 청룡암 주지기고 쓰레기 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 얼마 행사 하나

2022-05-25

[독자 마당] 쓰레기 분리수거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쓰레기 분리수거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의 모범국인 것 같다. 음식물 쓰레기는 따로 분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은 종류별로 나누어 버린다. 분리수거를 보고 있으면 저렇듯 귀찮은 일들을 잘 하고 있는 것에 감탄이 나오기도 한다.     반면 미국을 보면 분리수거가 한국만큼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물론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넣는 통을 따로 만들어 분리하고는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다. 쓰레기 수거 날에 보면 캔이나 빈병 등이 일반 쓰레기통에 버려진 경우가 많다. 쓰레기를 수거한 다음에 다시 한 번 분류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재활용품들이 일반 쓰레기로 처리될 수밖에 없다.     오래전 한국에 살 때에는 분리수거라는 말조차 없었다. 쓰레기는 모두 집 밖 시멘트로 만들어 놓은 쓰레기통에 버리면 가져가는 방식이다. 그런 국가에서 이제는 철저한 분리수거를 실시하고 있다.     여러 방면에서 한국은 자타가 인정하는 선진국이 됐다. 그중에서도 쓰레기 분리수거는 진정한 선진국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 같다.     미국인들에게 한국처럼 엄격한 분리수거를 요구하면 반발이 클 것이다. 이전부터 물자가 풍부해 쓰고 버리는 것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지금도 패스트푸드점 쓰레기통을 보면 쓰고 버린 일회용품이 가득 차 있다.     신문을 보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한다. 천연자원을 아끼고 덜 사용하는 것도 지구온난화를 막는 방법이다. 조금 귀찮고 번거롭더라도 재활용품들은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제대로 분리해야 한다. 분리수거통에 넣으면 재활용되지만 일반 쓰레기통에 넣으면 영원히 버려진다.     지구는 우리 후세들이 살아가야 할 삶의 터전이다. 깨끗하게 쓰고 남겨주는 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도리다. 김자영·그라나다힐스독자 마당 분리수거 쓰레기 쓰레기 분리수거 패스트푸드점 쓰레기통 일반 쓰레기통

2022-02-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